공지사항

창호 복층 유리 단열 간봉 비교 | TPS : 테카썸 : 스위스페이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LX지인
댓글 0건 조회 150회 작성일 25-07-02 13:28

본문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9835_8283.jpg
 

● 왜 간봉이 중요한가요?


창호 고를 때, 유리만 보고 결정하셨나요? 복층 유리의 단열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는 '간봉(Spacer)'입니다. 글라스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스페이서 바의 종류에 따라 글라스 사이의 단열성과 기밀성(밀폐력)이 크게 달라집니다.



● 스페이서 바란 무엇인가?


복층유리(Double Glazing)는 두 장 이상의 유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시켜 만든 구조입니다. 이때 모재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습기 차단, 단열, 기밀성을 확보해 주는 부자재가 바로 '간봉'입니다. 일반적으로 일반 간봉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과 단열 간봉으로 나뉩니다.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9890_7306.jp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9972_7692.png
알루미늄/ 단열 간봉 (상/하)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061_2519.png
 

간봉(스페이서 바)의 역할 :


▶ 글라스 사이의 균일한 간격 유지

▶ 수분 및 가스 차단

▶ 단열 성능 보조

▶ 결로 예방

1. 알루미늄 (Aluminium)


(1) 재질: 금속 (열전도율 높음)


(2) 장점: 가격이 저렴


보편적 사용, 생산 쉬움


(3) 단점:


열전도율이 높아 결로 발생 우려


틈 사이로 냉기가 침투 결로 발생


단열성과 밀폐력이 떨어짐


(4) 주요 문제점:


결로 발생 빈도가 높아 하자 가능성 증가


알루미늄 금속재 특성상 단열 성능 저하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082_7502.png
AL vs TPS 가스 손실률, 밀폐력



2. TPS (Thermo Plastic Spacer)


(1) 재질: 열가소성 플라스틱 + 흡습제 + 부틸 일체형


(2) 장점: 전자동 로봇 공정으로 오차 없음


열전도율 낮아 단열성, 밀폐력 우수 (아르곤가스 유지력 탁월)


코너키 없음 → 습기 유입 최소화


팽창/수축 대응력 우수 → 변형 최소화


금속 간봉 대비 열전도율 1/1000 수준 향상


아르곤 가스 보존성 우수해, 결로·에너지 절감 효과 높음


(3) 기술 배경: 독일 캐멀링 (Kommerling) 원천 기술 국내 일부 업체들, 대표적으로 LX하우시스 등이 국산화하여 가격 경쟁력 확보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139_6451.png
▷ 단열성능 비교 (자료 출처: KCC글라스 이중창 242 모델 적용 시 )


로이 글라스 + 아르곤가스 + TPS 조합 시 열관류율: 최저 0.766 W/㎡·K - 한국에너지공단 기준 소비 효율 1등급

일반 글라스 + 알루미늄간봉 조합 대비 최대 57% 에너지 절감 효과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210_9893.pn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219_0165.png

TPS 가스 주입구와 열전도도


3. 스위스페이서 (SWISSPACER)


(1) 재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 특수 호일


(2) 장점: 열전도율 낮아 단열성 우수


기밀성과 내구성, 열차단성 모두 우수


다양한 색상 제작 가능함


유리와의 열팽창률 일치 → 장기 내구성 탁월


(3) 단점: 높은 가격 


(4) 제조사: 스위스 Glassolutions (Saint-Gobain 그룹)의 제품으로 한글라스에서 주로 수입하여 사용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313_0309.pn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313_083.pn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313_1261.png
Swispacer (출처 LX글라스 공식 홈페이지와 블로그 lxglas.com | blog.naver.com/myhanglas )


​ 

4. 테카썸 (Tecatherm)


​(1) 재질 : Polypropylene + Glass fiber


(2) 장점: 열전도율 낮아 단열성 우수


기밀성과 내구성, 열차단성 모두 우수


다양한 색상 제작 가능함


아르곤 가스 보존성 우수해, 결로·에너지 절감 효과 높음


(3) 기술 배경: Engsinger(엔싱거)·Wolftech KCC글라스와 기술 협력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393_518.png
Tecatherm (출처 : KCC글라스)



● 비교 완전 정리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30436_4206.png
   AL vs Swispacr / Tecatherm vs. TPS



● 어떤 간봉을 선택할까?


가성비 : 알루미늄 + 로이 글라스 조합


단열 : TPS/SWISSPACER/테카썸 + 로이 복층유리 (로이<수퍼로이<슈퍼더블로이) + 아르곤가스 조합

● 전문가 요약


결국, 복층유리의 단열성능을 좌우하는 건 ‘유리+간봉+가스’의 조합입니다.


알루미늄 스페이서 바는 결로와 냉기 유입에 취약하고, 단열 간봉 (TPS·Swispacer·Tecatherm)은 에너지 절감 효과와 장기 내구성에서 매우 우수합니다.


고성능 글라스를 선택했다면, 간봉도 반드시 고단열 제품으로 선택해야 창호의 진짜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창호·샷시의 57% 이상 단열 성능 개선은 단열 간봉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